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려면 위 페이지 방문하시면 됩니다~
문제설명
선물을 직접 전하기 힘들 때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을 이용해 축하 선물을 보낼 수 있습니다. 당신의 친구들이 이번 달까지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을 바탕으로 다음 달에 누가 선물을 많이 받을지 예측하려고 합니다.
- 두 사람이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이 있다면, 이번 달까지 두 사람 사이에 더 많은 선물을 준 사람이 다음 달에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예를 들어 A가 B에게 선물을 5번 줬고, B가 A에게 선물을 3번 줬다면 다음 달엔 A가 B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두 사람이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이 하나도 없거나 주고받은 수가 같다면, 선물 지수가 더 큰 사람이 선물 지수가 더 작은 사람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선물 지수는 이번 달까지 자신이 친구들에게 준 선물의 수에서 받은 선물의 수를 뺀 값입니다.
- 예를 들어 A가 친구들에게 준 선물이 3개고 받은 선물이 10개라면 A의 선물 지수는 -7입니다. B가 친구들에게 준 선물이 3개고 받은 선물이 2개라면 B의 선물 지수는 1입니다. 만약 A와 B가 선물을 주고받은 적이 없거나 정확히 같은 수로 선물을 주고받았다면, 다음 달엔 B가 A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만약 두 사람의 선물 지수도 같다면 다음 달에 선물을 주고받지 않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규칙대로 다음 달에 선물을 주고받을 때, 당신은 선물을 가장 많이 받을 친구가 받을 선물의 수를 알고 싶습니다.
친구들의 이름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friends 이번 달까지 친구들이 주고받은 선물 기록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gift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다음 달에 가장 많은 선물을 받는 친구가 받을 선물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2 ≤ friends의 길이 = 친구들의 수 ≤ 50
- friends의 원소는 친구의 이름을 의미하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길이가 1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이름이 같은 친구는 없습니다.
- 1 ≤ gifts의 길이 ≤ 10,000
- gifts의 원소는 "A B"형태의 문자열입니다. A는 선물을 준 친구의 이름을 B는 선물을 받은 친구의 이름을 의미하며 공백 하나로 구분됩니다.
- A와 B는 friends의 원소이며 A와 B가 같은 이름인 경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문제풀이
def solution(friends, gifts):
nums = len(friends)
next_gift = [0 for _ in range(nums)] # 다음 달 받을 개수
give_gift = {} # 누가 누구한테 줬는지
score = {} # 선물지수
# 딕셔너리 초기 세팅
for friend in friends:
give_gift[friend] = {}
score[friend] = 0
for gift in gifts:
giver, taker = gift.split(' ') # 준 사람 받은 사람 구분
if taker in give_gift[giver]:
give_gift[giver][taker] += 1 # 선물을 준 적이 있다면 +1
else:
give_gift[giver][taker] = 1 # 선물을 준 적이 없다면 이번에 처음주는 거니까 1로(딕셔너리 값 없어서)
score[giver] += 1 # 준사람과 받은 사람 선물지수 관리
score[taker] -= 1
for i in range(nums): # 중첩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두 사람이 선물 주고받은 관계 비교
curr = friends[i]
for j in range(i+1, nums):
other = friends[j]
if other in give_gift[curr]:
a = give_gift[curr][other]
else:
a = 0
if curr in give_gift[other]:
b = give_gift[other][curr]
else:
b = 0
if a > b: # 선물지수 비교로 다음 달 받을 선물 갯수 확인
next_gift[i] += 1
elif a < b:
next_gift[j] += 1
elif a == b:
a_score, b_score = score[curr], score[other]
if a_score > b_score:
next_gift[i] += 1
elif a_score < b_score:
next_gift[j] += 1
answer = max(next_gift)
return answer
정리
위 문제에서는 중첩 딕셔너리를 통해 선물을 준 사람과 받은 사람의 선물 수에 대한 관계를 설정하는 게 주요 포인트였다.
split() : 문자열 나누기 함수, 리스트로 반환함
문자열.split() :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문자열을 제한 없이 나누고 반환
문자열.split('구분자') : 구분자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제한 없이 나누고 반환
문자열.split('구분자', 분할 횟수) : 구분자를 기준으로 분할 횟수만큼 나누고 나머지는 나누지 않고 반환
문자열.split(seq = '구분자', maxsplit = 분할 횟수) : 구분자를 기준으로 분할 횟수만큼 나누고 나머지는 나누지 않고 그냥 반환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2023 KAKAO BLIND RECRUITMENT - 이모티콘 할인행사 (0) | 2024.06.10 |
---|---|
[프로그래머스] 2023 KAKAO BLIND RECRUITMENT - 택배 배달과 수거하기 (0) | 2024.06.10 |
[프로그래머스]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 -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0) | 2024.06.04 |
[프로그래머스]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 실패율 (0) | 2024.06.04 |
[프로그래머스] 2018 KAKAO BLIND RECRUITMENT - [1차] 비밀지도 (0) | 2024.06.03 |